이하 설명은 국립중앙박물관의 설명을 옮기거나 요약 발췌... 고려 충목왕 4년(1348)에 만든 대리석 탑으로 국보 제10호이다. 풍화작용으로 인한 훼손 때문에 1995년에 해체했다 2005년 용산에 국립중앙박물관이 신축되면서 이전 복원했다. 벽에 걸린 4기는 발해의 소조불상, 아래의 2단 바닥에 놓인 5기는 1937년 평양 원오리 사지에서 발굴된 고구려의 소조불상이다. 윗 사진의 벽에 걸린 발해 소조불상 5기이다. 1, 2번은 2008년에 입수한 출토지 불명의 불상, 3, 4번은 중국 헤이룽장성 닝안시 상경성 토대자 사지에서 1942년에 발굴된 불상이다. 기와지붕에서 둥그렇게 돌출한 기와를 수키와, 수키와 사이에서 오목하게 아래로 받쳐주는 기와를 암키와라고 한다. 막새기와는 지붕 끝(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