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198

비엔나 1900, 꿈꾸는 예술가들 3(공예)

≪일상을 예술로, 비엔나 디자인 공방의 탄생≫구스타프 클림트와 그의 동료들은 공예도 예술과 동등한 지위를 가져야 하며, 일상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예술은 없다고 주장했다. 비엔나 분리파 전시회에서는 회화, 공예, 조각, 포스터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함께 전시하였고, 예술은 모든  사람을 위한 것임을 대중에게 알렸다. 1903년 콜로만 모저와 요제프 호프만은 일상의 물건도 예술적으로 아름다워야 한다는 생각을 바탕으로 비엔나 디자인 공방을 설립했다.비엔나 디자인 공방의 초기 디자인은 19세기 말 유럽에서 유행한 장식 미술과 아르누보의 영향을 받았다. 특히 자연에서 영감을 받은 곡선 형태가 두드러졌다. 그러나 곧 기능성과 미학의 조화를 강조한 *영국 예술공예운동의 영향으로 기하학적 단순함을 중시하는 디자..

서울특별시 2025.01.23

비엔나 1900, 꿈꾸는 예술가들 2(오스카 코코슈카, 에곤 실레)

≪비엔나 1900, 꿈꾸는 예술가들≫전시 기간 : 2024.11.30(토) ~ 2025.3.3(월)전시 장소 :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시실부제 : 구스타프 클림트부터 에곤실레까지 ≪오스카 코코슈카(Oskar Kokoschka)≫"내가 왜 그림을 그렸는지에 대한 답은 그림 그 자체에 있다"1886~1980. 빈 응용예술대학교에서 수학하다 1910년 베를린으로 이주하여 표현주의 운동에 참가하였으며 1차 세계대전에 종군하였다. 전후에는 6년 가량 드레스덴 아카데미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다 유럽, 아프리카, 중동 등을 돌며 풍경화를 제작하였다. 나치의 압박으로 1938년 런던으로 망명하여 작품활동을 했다. 젊은 예술가들 사이에서 유행하는 표현주의 경향의 작품을 제작하던 오스카 코코슈카는 1900년대 예술가들의 초상화..

서울특별시 2025.01.23

비엔나 1900, 꿈꾸는 예술가들 1

≪비엔나 1900, 꿈꾸는 예술가들≫전시 기간 : 2024.11.30(토) ~ 2025.3.3(월)전시 장소 :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시실부제 : 구스타프 클림트부터 에곤실레까지  '비엔나 1900, 꿈꾸는 예술가들' 입장 대기줄>현장에서 입장권 구입은 불가하고 인터넷으로만 예매해야 하는 것으로 아는데 인터넷 예매도 경쟁이 치열하므로 며칠 전 예매 필수! 실내 포스터의 모델은 구스타프 클림트의 '수풀 속 여인'. '비엔나 1900, 꿈꾸는 예술가들' 전시실 배치도(유도 동선)>전시작품이 워낙 많고(191점) 전시장이 촘촘해서 사전에 전시장을 좀 파악하고 들어가야 덜 혼란스럽다. 자칫하다 전시 일부를 놓칠 수도... '비엔나 1900, 꿈꾸는 예술가들' 전시 개요>       수풀 속 여인(구스타프 클림트)..

서울특별시 2025.01.22

북촌 답사2- 가회동 백인제 가옥, 가회동성당, 서울 재동 백송

≪손병희 선생 집터≫서울 종로구 가회동 170.손병희 선생(1861~1922)은 구한말의 천도교 지도자이자 3·1운동을 이끈 독립운동가이다. 1897년에 동학의 3대 교주가 되었으며, 3·1운동 때에는 민족대표 33인 중 한 분으로 3·1운동을 주도하였다. 이곳에서 1919년 2월 28일 독립선언서에 서명한 민족대표들이 모여 의견을 나누었다. ≪가회동 백인제 가옥≫지정번호 : 서울특별시 민속문화재 제 22호.소재지 : 서울 종로구 북촌로7길 16 (가회동).북촌의 높은 언덕에 위치하고 있는 백인제 가옥은 한성은행 전무였던 한상룡에 의해 1913년에 건립되었다. 주변가옥 12채를 사들여 마련한 907평의 큰 대지에 압록강 흑송을 사용하여 건축하였다고 한다. 사랑채와 안채가 확연히 분리되는 전통한옥과 달리 ..

서울특별시 2024.12.16

북촌 답사1- 안(국)동별궁 터, 안동교회, 윤보선 가옥, 정독도서관

≪안(국)동별궁 터≫구 풍문여고, 현 서울공예박물관.처음에는 세종의 막내아들 영응대군의 집이었으며 세종은 이곳에서 승하했다. 영응대군이 아들 없이 죽자 부인은 성종에게 집을 바쳤고, 성종은 부친인 의경세자의 사당(의경묘)을 만들고 형인 월산대군이 봉사하도록 했다. 중종 때 혜순옹주, 인조 때 영창대군의 누나인 정명공주, 숙종 때 연령군의 궁가가 되었다. 고종 때 왕세자 순종의 가례소(嘉禮所)가 되었고, 일제강점기에 민영휘와 최창학에게 팔렸으며 1944년 민영휘의 증손인 민덕기가 증조모 안유풍(민영휘의 부인)의 유지에 따라 폐교된 정신여학교를 인수하여 이곳에 풍문여학교를 설립했다. 현재 서울공예박물관이 들어서 있다.안국동 별궁은 일제 강점기인 1936년에 민간에게 매각되면서 건물들이 팔려나갔다. 경기도 고..

서울특별시 2024.12.14

국립민속박물관 기증 특별전 '꼭두'

≪기증 특별전 꼭두≫장소 : 국립민속박물관 기획전시실1기간 : 2024.10.23.~2025.3.3.기증자 : 김옥랑(활동 요약 : 동숭아트센터 설립, 옥랑문화재단 설립, 꼭두박물관 개관, 꼭두랑 한옥 개관, 기타 다수의 꼭두 관련 책 발간 및 전시) ≪전시의 내용≫1. 낯섦, 마주하다 - 죽음을 맞이한 사람은 친숙한 이승을 벗어나 저승으로 떠나기 위한 여정을 시작해야 한다. 이때 시종(侍從) 꼭두가 망자를 맞이한다. 시종 꼭두는 낯선 곳에서 두려워하는 망자의 시중을 들며, 저승으로 편안하게 여행할 수 있도록 곁에서 돕는다. 신선과 선녀, 부처와 승려, 무당 등 다양한 모습의 꼭두도 망자를 위로한다. 가족의 죽음을 맞이한 사람들은 죽은 이가 되살아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아 초혼(招魂)을 행한다. 망자가 ..

서울특별시 2024.11.06

창덕궁

≪창덕궁≫ 유네스코 세계유산.창덕궁(昌德宮)은 1405년(태종 5) 법궁인 경복궁의 이궁으로 창건되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가 1610년(광해군 2) 궁궐 중 처음으로 다시 지어졌으며, 이후 역대 왕들이 1867년 경복궁이 중건될 때까지 약 270여년 동안 창덕궁을 더 많이 사용하여 실질적인 법궁의 역할을 하였다. 특히 대조전 부속 건물인 흥복헌은 1910년 경술국치가 결정되었던 비운의 장소이기도 하며, 낙선재 권역은 광복 이후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실 가족(순정황후:순종의 두 번째 부인, 의민황태자비:이방자 여사, 덕혜옹주)이 생활하다가 세상을 떠난 곳이기도 하다. 후원은 1406년(태종 6) 창덕궁 북쪽에 처음 조성되었고 1463년(세조 9) 확장되었다가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

서울특별시 2024.11.05

법련사 불일미술관 '여래의 바다' 동위, 서위, 수, 당의 불상

≪전시장 및 전시 정보≫1. 법련사 불일미술관 위치 : 서울 종로구 삼청로 10    (경복궁 주차장 출입구 맞은편, 국립미술관 서울관 옆)2. 관람시간 : 화요일~일요일 11:00~18:00 (월요일 휴관)3. 전시기간 : 2024년 5월 31일~11월 30일4. 입장료 : 무료5. '여래의 바다' 전시내용 : 북조시대와 수, 당대의 중국 초기 불교미술   - 한국 불교미술의 원류를 찾아서 ≪당나라의 불상, 전시회 작품의 기타 특징들≫ 당나라의 불상은 신체의 양감을 강조한다. 특히 사천왕상의 볼륨과 특유의 포즈는 매우 역동적인 느낌을 준다. '여래의 바다' 전시회에는 불비상(佛碑像) 형태의 많은 부조 작품이 전시되어 있다. 이들은 운강석굴이나 용문석굴 벽면의 부조와 비슷하지만 모두 독립 작품이다. 석굴..

서울특별시 2024.10.14

법련사 불일미술관 '여래의 바다' 북제시대의 불상

1. 법련사 불일미술관 위치 : 서울 종로구 삼청로 10    (경복궁 주차장 출입구 맞은편, 국립미술관 서울관 옆)2. 관람시간 : 화요일~일요일 11:00~18:00 (월요일 휴관)3. 전시기간 : 2024년 5월 31일~11월 30일4. 입장료 : 무료5. '여래의 바다' 전시내용 : 북조시대와 수, 당대의 중국 초기 불교미술   - 한국 불교미술의 원류를 찾아서 --이하 내용은 현지의 영상물 내용에서 발췌---'여래의 바다'는 약 1,500년에서 1,200년 전 중국에서 제작된 진품 불상 전시회이다. 미국의 여러 대학에서 동양미술사를 가르치는 석불헌 김기홍 교수는 지난 30년 동안 미국과 캐나다에서 이 불상들을 수집하였다. 이것이 반야컬렉션이다. 불상 전시회에 소개된 불보살상들은 2가지 면에서 감..

서울특별시 2024.10.13

법련사 불일미술관 '여래의 바다' 전시회 개요 및 북위시대의 불상

1. 법련사 불일미술관 위치 : 서울 종로구 삼청로 10    (경복궁 주차장 출입구 맞은편, 국립미술관 서울관 옆)2. 관람시간 : 화요일~일요일 11:00~18:00 (월요일 휴관)3. 전시기간 : 2024년 5월 31일~11월 30일4. 입장료 : 무료5. '여래의 바다' 전시내용 : 북조시대와 수, 당대의 중국 초기 불교미술   - 한국 불교미술의 원류를 찾아서 인도에서 시작된 불교미술은 불교의 중국 전파와 더불어 비단길을 따라 중국에 들어와 기원 후 1세기에는 이미 중국에서 시작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처음에는 중국 전통사상인 도교와 병행하는 양상을 보이기도 했지만 중국 불교미술은 한나라 멸망 후 세력을 확장해 나가던 선비족 중심의 다섯 호족들에 의해 고대 중화문명의 중심인 황하 유역이 점령되어 ..

서울특별시 2024.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