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인천

이천 장암리 마애보살반가상, 이평리 석불입상, 관고동 석불입상

큰누리 2020. 10. 7. 14:34

<2015년 여름 답사를 추억하다 11>

 

<이천 장암리 마애보살반가상(태평흥국명 마애보살좌상)>

지정 : 보물 제982호.

소재지 : 경기도 이천시 마장면 장암리 183-1.

이 불상은 고려 경종 6년(981)에 미륵바위라는 화강암 앞면에 얕은 부조로 새긴 3.2m의 보살좌상이다. 머리에 씌어진 높은 보관에 화불(化佛)이 표현되어 있으며 손에는 연꽃 가지를 들고 있어 관음보살상임을 알 수 있다. 이 보살상의 얼굴은 사각형에 가깝게 비대하며 넓은 이마, 큼직한 눈, 작은 입, 짧은 귀 등 얼굴과 이목구비가 부조화스러워 둔중한 느낌을 준다. 오른발은 내려 앙련좌 위에 얹고 왼발은 오른쪽 무릎 위에 걸친 반가 자세를 취했는데, 상체에 걸맞게 큼직하고 평면적인 형태이다. 보살의 옷은 두 어깨에 걸쳐 희미하게 표현되었고, 다리를 거쳐 대좌 아래까지 내렸는데 두 어깨를 모두 덮은 통견 형태이다.

 

바위 뒷면에 '태평흥국6년 신사 2월 13일...(太平興國六年二月十三日...)' 이라는 명문이 음각되어 있어 조성연대가 고려 초인 경종 5년(980)임을 알 수 있다. 이 보살상은 경기도 하남시 교산동에 있는 태평2년명 마애약사불좌상(보물 제981호)과 비슷한 시기에 만들어졌지만, 표현이 더 둔중하고 도식적이며 불균형하게 경북 금릉군 광덕동석조보살입상(보물 제679호)이나 경북 보령군 개포동 마애보살상 계통과 상통하는 지방양식으로 여겨진다.

--현지 안내문--

 

 

<이천 장암리 마애보살반가상(태평흥국명 마애보살좌상) 앞면>

 

 

 

<이천 장암리 마애보살반가상(태평흥국명 마애보살좌상) 옆면>

 

 

<이천 장암리 마애보살반가상(태평흥국명 마애보살좌상) 뒷면의 명문>

자세히 보면 太平, 六 등의 한자를 알아볼 수 있다.

 

---------------------------------------------------------------------------------

 

 

<이천 이평리(泥坪里) 석불입상>

지정 : 경기도 문화재 자료 제70호

소재지 : 경기도 이천시 마장면 이평리 267-22

이 불상은 한 덩어리의 화강암으로 조성된 여래입상으로 아래 부분이 파손되었을 뿐 아니라 마멸이 심하다. 곱슬머리 위에는 지혜를 상징하는 상투 모양의 낮은 육계가 있고, 얼굴은 마멸이 심해 이목구비의 표현을 알 수 없지만 다소 통통한 얼굴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얼굴에서부터 어깨선이 바로 이어져 목은 거의 표현되지 않았다.

 

옷(法衣)은 양쪽 어깨를 덮은 두꺼운 통견(通肩)으로 어깨로부터 굵은 옷주름이 U자형을 그리며 표현되었다. 오른손은 무릎으로 내렸으나 손목 이하는 알 수 없고, 왼손은 살짝 구부리고 있다. 왼쪽으로 기울어진 어깨, 두껍고 간략한 옷주름, 양감이 없는 가슴 등에서 고려시대의 불상양식을 잘 보여준다. 현재 대좌는 마을 사람들이 시멘트로 조성하였는데 이것은 도굴꾼들의 운반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현지 안내문--

 

 

<이천 이평리(泥坪里) 석불입상 앞면>

 

 

 

<이천 이평리(泥坪里) 석불입상 옆면과 뒷면>

 

-------------------------------------------------------------------------------------------------

 

 

<이천 관고동석불입상>

관고동석불입상은 안내문 촬영을 놓쳤는지 사진이 없었다. 불교의 윤회를 상징하는 커다란 바퀴가 그려진 '법왕궁'이라는 건물 뒤에 있는데 건물은 석불을 따라 나중에 지어진 듯 했다. 보존상태는 바깥에 노출된 상태치고는 상당히 양호했으나 표현, 특히 몸부분이 도식적인데다 양쪽 팔이 심하게 컸다. 쭉 뻗은 왼쪽 팔이 정강이 부분까지 내려가 있어 팔이 어느 정도 긴지 비교 판단할 수 있다.

 

뒷면의 쇄골 사이에 네모난 홈이 있고, 홈을 따라 내려간 일자 선이 있어 그 부분에 명문이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손이 지나치게 큼에도 불구하고 나름 안정감이 있었고, 전체적인 표현으로 보아 고려시대의 불상으로 추측되었다.

 

 

<이천 관고동석불입상 앞의 법왕궁>

 

 

<이천 관고동석불입상 앞면>

 

 

 

<이천 관고동석불입상 옆면과 뒷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