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도

해남 달마산 미황사, 달마고도 숲길

큰누리 2023. 11. 19. 19:12

※ map.kakao.tistory.com의 잘못된 지도 표기 : 절의 배치도를 대신하려고 위의 지도를 확대했더니 향적전은 향직전으로, 범종각은 범진각으로 오기되어 있었다. 지도를 첨부할 때 가끔 용어들이 내가 알던 것과 달라 내 기억이 잘못된 것인가 의심했는데 지도의 표기가 오기였다. 이런 일이 꽤 잦았는데 제대로 고쳐졌으면 한다.

 

 

≪해남 달마산 달마산 미황사 일원≫

명승 제59호

위치 : 전남 해남군 송지면 서정리 247외.

달마산(達摩山, 489m)은 ... 천년고찰 미황사와 어우러져 경관이 빼어나다. 산 이름은 경전(dharma, 達摩)을 봉안한 산이라는 뜻에서 비롯되었다. 산 능선은 공룡의 등줄기처럼 울퉁불퉁한 기암괴봉이 7km에 걸쳐 이어져 있어서 남해의 금강산으로 불리는데 손색이 없을 만큼 풍광이 수려하고 힘찬 기상을 느끼게 한다. 달마산은 불상바위, 석양 세 가지의 노란색이 조화(美黃)를 이뤄 아름다운데 특히, 산 능선에서 바라보는 서해 낙조는 남도제일경으로 알려져 있을 만큼 황홀하다.

 

미황사는 신라 경덕왕 3년(749) 창건했다고 전하며, 인도에서 경전과 불상을 실은 돌배가 사자포구(현 갈두항)에 닿자 의조화상이 이것을 소등에 싣고 오다가 소가 드러누운 산골짜기에 절을 지어 미황사라고 했다는 설화가 전한다.

 

1597년 정유재란 때 미황사는 대부분의 전각이 불에 타고 기록마저 없어졌다. 이후 조선후기에 세 차례에 걸친 대대적인 중창불사로 다시 번성했고, 고승들이 주석하면서 승풍을 크게 떨쳤다. 현재 경내에는 '해남 미황사 대웅전(보물 제947호), 해남 미황사 응진당(보물 제1183호), 미황사 괘불탱(보물 제1342호)' 등 국가지정문화재 3점이 있다. 발굴조사 등 고증을 통해 옛 가람배치를 확인하고, 정비계획에 따라 복원불사도 활발하다.   (현지 안내문 요약)

 

 

<해남 달마산 미황사 배치도>

 

 

<달마산 미황사 일주문>

다포식 지붕이라 화려하고 옆에서 보면 조금 무거워보이기도 한다. 일주문 좌우에 담장이 있는 점도 독특하다. 일주문으로 들어서면 꽤 길고 경사가 진 108 계단이 있다. 

 

 

<미황사 일주문에서 천왕문 사이 '자비의 108계단'>

경사진 계단을 한참 올라야 하지만 계단 폭이나 간격이 느슨해서 크게 힘들이지 않고 오를 수 있고, 양쪽의 숲이 깊어서 좋다. 미황사는 이 계단부터 모든  전각에 이르기까지 계단과 축대로 이루어진 절이기도 했다. 돌아다니기에는 다소 불편하지만 그 때문에 독특한 아름다움이 있고, 축대 위에 수국들을 심어 꽃이 피는 봄에는 또 다른 아름다움이 있을 것 같다.  

 

 

 

<미황사 천왕문>

계단 아래에서 축대 너머로 보이는 천왕문은 아래 사진처럼 평지에서 보는 것과 또 다르다. 천왕문 안에는 윤장대가 있다. 두 번째 단은 사천왕으로 사진 왼쪽은 북방 다문천왕과 동방 지국천왕, 오른쪽은 남방 증장천왕과서방 광목천왕이다.

 

세 번째 단의 윤장대(輪藏臺)는 불교 경전을 보관하는 회전식 경장(經藏)으로 전륜장, 전륜경장, 전륜대장이라고도 한다. 예로부터 윤장대를 한번 돌리면 경전을 한번 읽는 것과 같다는 공덕신앙이 더해져 대중들에게 업장소멸과 소원성취의 경장건축으로서 주목을 받았다.  동아시아에서도 한국에서만 유일하게 존재하는 양식이며, 8각형의 불전 형태로 제작되어 중앙의 목재 기둥이 회전축 역할을 하여 돌릴 수 있다.    (현지 안내문 요약)

 

 

 

 

<천왕문을 들어서서 본 미황사 전경>

천왕문에 이어 본격적으로 축대가 이어지고, 축대 사이에 심은 수국들이 인상적이다. 꽃이 모두 시들었지만 응진전 앞의 수국만은 마른 꽃포를 달고 있었다. 아침이었는데 미황사는 일주문부터 동쪽을 향해 진행하는지 나뭇잎을 뚫고 들어온 햇빛이 종종 시야를 가렸다. 

 

 

<미황사 자하루>

자하루를 지나면 바로 앞에 임시건물인 대웅보전이 나타난다. 그 때문에 헷갈렸는데 원래의 대웅전은 조금 더 뒤에 있고, 현재 해체 중수 공사 중이라 보호각(!)으로 둘러싸여 볼 수 없다. 

 

 

 

<미황사 자하루와 대웅보전 사이 중간(층)에서 본 전각들>

자하루에서 대웅보전과 다른 전각들로 가려면 다시 계단(축대)을 올라야 한다. 첫 번째 사진 왼쪽은 중앙에 있는 대웅보전으로 오르는 계단이다. 첫 번째 사진 방향에는 세심당, 안심료, 감로당, 달마선원 등 주로 스님들을 위한(!) 전각들이다. 

두 번째 사진 방향 아래에는 범종각과 청운당이, 윗단에는 종무소, 향적당이 보인다. 중요한 전각들은 주로 두 번째  사진의 범종각 위쪽에 있다.   

 

 

 

<미황사에서 본 달마대사 관련 조형물들>

미황사가 위치한 달마산이 경전(dharma, 達摩)을 봉안한 산이란 뜻이어서인지 곳곳에 다양한 형태의 달마대사상이  있다. 

 

 

<미황사 자하루 외관과 내부>

자하루는 양쪽이 대칭의 누각 형태라 눈에 확 들어오고 건물 자체도 아름답다. 앞뒤가 창호로 되어서 문을 열면 진도 앞바다가 보이고, 맞은편 안쪽으로 대웅보전이 보인다. 사찰 전각이 아니라 아름다운 전망을 즐기기 위해 일부러 세운 저택의 별채 같다. 양쪽 벽면에 있는 천불로 보이는 조약돌에 각기 다른 돌에 그린 불상그리다 만 탱화가 인상적이었다. 

 

 

 

 

<미황사 자하루 창문으로 본 진도 앞바다>

 

 

<미황사 대웅보전(임시 건물)>

원래의 대웅보전은 이 건물 바로 뒤에 있으며, 현재 해체 중수 공사 중이라 보호각(!)으로 둘러싸여 볼 수 없다. 가장 아름다운 전각 중 하나인데 전혀 볼 수 없어서 유감이었다. 

 

 

<미황사 대웅보전과 해체보수 및 중수복원>

미황사 대웅전(보물 제947호)은 신라 경덕왕 8년(749)에 창건되었다. 미황사는 창건 이후 조선중기까지 12암자를 거느린 대찰로 번성하였는데 정유재란(1597) 당시 대부분의 전각이 소실되어 1601년에 중창하였고, 2008년에 삼창하였다. 

대웅보전 한 가운데에는 석가모니불, 좌우에는 아미타불과 약사여래불이 모셔져 있다. 1598년에 중장하였고, 1660년, 1754년, 1982년, 2007년에 거듭 중수하였다. 내부의 대들보와 천장은 산스크리트어 문자와 천불도로 장엄되어 있는데 그 아름다움이 인도의 아잔타 석굴 벽화, 중국 둔황 막고굴의 천불벽화에 비견되어지기도 한다.   (현지 안내문 요약)

 

윗 사진들은 보수공사에 들어가기 전의 대웅보전이다. '대웅보전 천일의 휴식'이란 이름으로 현재 해체보수 및 중수복원 중이다. 처음에는 보호각의 존재를 이해하지 못해 임시전각이 원래 터인 줄 알았다. 기도 올리는 스님들 위로 흙더미가 떨어질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어서 해체보수 및 중수복원을 하게 되었다고 한다. 미황사 대웅보전 보수정비공사 기간은 2022. 10. 17.~2024. 03. 05.까지라고 한다.

 

 

 

<미황사 세심당>

 

 

<미황사 대웅보전 왼쪽의 전각들>

첫 번째 사진 왼쪽부터 향적당, 우화당, 명부전이다. 오른쪽의 명부전 바로 옆에 원래의 (보수 중인) 대웅보전이 있고, 그 뒤로 삼성각, 응진전이 있다. 두 번째 사진은 향적당, 우화당이다.

 

 

 

<미황사 명부전>

명부전은 지장보살상을 주불로 봉안하므로 지장전이라고도 한다. 좌우에 도명존자와 무독귀왕이 협시하고, 시왕(十王)상과 시봉을 드는 10동자, 판관과 녹사 각각 2구, 문 입구에 장군 2구를 봉안한다.

 

 

 

<미황사 삼성각>

삼성각은 산신, 칠성, 독성을 함께 모신 전각이다.  산신 우리나라 토착 민간신앙인 산신을 불교에서 수용한 것으로 호랑이와 함께 봉안한다. 칠성은 도교에서 유래한 신이고, 독성은 스승없이 홀로 도를 깨달은 나반존자이다.

 

 

<미황사 삼성각 앞에서 본 응진당(좌)과 공사 중인 대웅보전(우)>  

 

 

<미황사 응진당>

지정 : 보물 제1183호

응진당은 나한전(羅漢殿), 영산전(靈山殿)이라고도 하며, 삼존불(석가모니, 미륵보살, 제화갈라보살)과 16나한상, 16나한도가 봉안되어 있다. 다른 보물인 대웅보전이 공사 중이기 때문에 그나마 볼 수 있는 응진당의 아름다운 전각이 돋보였다. 건물 외형도 아름답지만 천장도 눈여겨 볼만 하다.

 

 

 

<미황사에서 본 달마산 정상의 기암괴석>

고도 차와 햇빛 난반사 때문에 오전에 다른 곳에서는 달마산 정상 조망이 쉽지 않지만 이 위치(찻집, 천왕문 사이)에서는 가능하다. 원경이지만 왜 남도 끝의 금강산으로 불리는지 이해가 될 정도로 아름답다.

 

 

 

<미황사 옆의 달마고도>

미황사 정면에서 왼쪽으로 난 달마고도 1코스 입구 풍경이다. 발걸음이 잰 일행은 바다가 보이는 곳까지 다녀왔다는데 나는 전날 시간에 쫓겨 대흥사를 제대로 못본 것이 한(!)이 되어 과감하게 달마고도를 포기하고 미황사를 보는데 주력했다. 그래도 시간이 조금 남아 맛보기로 15분 정도 걸었는데 깊은 숲길에 산책로가 이어지고 나무마다 친절하게 이름패가 붙어있어서 좋았다. 

 

달마고도는17.74km이고, 4개의 코스로 나뉘며, 모두 돌려면 6시간 30분이 걸린다고 한다. 저질 체력인 나는 7시간 가까이 걷는 것도 그렇지만 기암괴석이 있는 곳은 죽었다 깨어나도 불가능한 넘사벽이다. 등산 코스는 별도로 3개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