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헌인릉

큰누리 2015. 4. 4. 00:51

 <헌인릉> 사적 제194호.

헌인릉은 조선의 제3대 임금 태종과 원경왕후를 모신 헌릉(獻陵)과 제23대 임금 순조와 순원왕후를 모신 인릉(仁陵)이다. 두 능은 서초구 내곡동의 대모산을 주산으로 하여 약 400m 거리를 두고 동쪽과 서쪽에 있다. 남쪽으로는 왕릉의 저지대에 심어져 관리되던 오리나무 군락이 대규모로 남아있어 왕릉 조영의 기본과 생태계를 확인할 수 있다.

♣ 헌릉 : 태종과 원경왕후 민씨를 모신 쌍릉

 인릉 : 순조와 순원왕후 김씨를 모신 합장릉

 

<헌인릉 안내도>

 

<인릉(仁陵)>

인릉은 조선 제23대 임금 순조(1790~1834, 재위 1800~1834)와 순원왕후 김씨(1789~1857)의 합장릉이다. 처음에는 대왕대비 정순왕후의 수렴청정을 받았고 뒤에는 아들인 효명세자와 더불어 개혁을 추진했으나 세자가 요절하고 자연재난, 홍경래의 난이 일어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순원왕후는 헌종의 왕대비, 철종의 대왕대비가 되어 안동 김씨 가문에서 왕비를 발탁하는 등 영향력을 발휘하기도 하였다. 인릉은 처음에 파주 장릉 가까이에 있다가 1856년에 이곳으로 옮겨왔다. 인릉은 봉분에 병풍석을 두르지 않고 12칸의 난간석만 둘렀다. 문, 무인석의 조각은 사실주의적으로 섬세하고 아름답다.

 

<인릉과 특이한 홍살문 기둥>

홍살문의 기둥이 특이하게 바닥에서 떠 있다. 전주의 경기전 홍살문도 이곳처럼 기둥이 바닥에서 떠 있었던 것으로 기억...

 

<인릉 비각의 비문>

전면에 '조선국 인조대왕 인릉 순원왕후 부좌', 후면에 간략한 일생이 새겨져 있다. 황제로 추존되었기 때문에 오른쪽에  비가 하나 더 있는데 전면에 '대한 순조숙황제 인릉 순원숙황후 부좌'라고 새겨져 있다.

 

<인릉 능침으로 오르는 계단과 주변의 노송>

 

<인릉>

 

<인릉 능침에서 본 정자각>

 

<헌릉 홍살문>

헌릉은 태종과 원경왕후 민씨를 모신 쌍릉이다.

 

<헌릉의 소전대(예감)>

제례를 마친 후 축관이 축문을 불사르는 장소로 추정되는 건원릉, 정릉, 헌릉에서만 볼 수 있는 조선 초기의 석물이다.

 

<헌릉 비각과 신도비>

비각은 비석이나 능 주인의 업적을 기록한 신도비를 세워둔 곳으로 헌릉 비각 안에는 보물 제1804호 '서울 태종 헌릉 신도비'가 있다.

 

<헌릉 소나무와 비각, 정자각>

 

<헌릉>

헌릉은 조선 제3대 임금 태종(1367~1422, 재위 1400~1418)과 원경왕후 민씨(1365~1420)를 모신 쌍릉이다. 1420년 원경왕후가 승하하자 이곳에 터를 정하고 '헌릉'이라 하였다. 태종은 태조를 도와 나라를 세우는데 큰 공을 세웠으며, 18년간 왕의 자리에 있으면서 관제개혁, 호패법 실시 등 새 왕조의 기틀을 다졌다. 원경왕후는 민제의 딸로 태종이 즉위하면서 36세에 왕비로 책봉되었다. 슬하에 양녕, 효령, 충녕, 성녕 네 대군과 네 공주를 두었는데, 충녕이 세종이 되었다.

헌릉의 능침은 병풍석과 난간석이 둘러있고 문, 무인석이 두 쌍이며, 혼유석 아래의 고석이 5개인 것이 특이하다. 언덕 아래쪽으로는 정자각과 비각이 있으며, 비각 안에는 1424년(세종6)과 1695(숙종21)년에 세운 신도비가 있다.

 

<헌릉의 특별한 점1, 2 - 공심과 2쌍의 문무인석>

사진 중앙 바닥의 평평한 돌을 공심이라고 하며 왕릉과 왕비릉 장명등 앞에 각각 1개씩 있다. 문무인석도 보통 1쌍인데 헌릉은 2쌍이다.

*왕릉의 능상(능침, 왕의 무덤)은 개인적으로 들어갈 수 없다. 일반적으로 왕릉 능침 주변은 옆에서 볼 수 있도록 제한 띠를 쳐놓거나 아예 올라갈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우리가 들어갈 수 있었던 것은 마침 문화재관리국의 사전 허가를 받고 해설사가 동행한 팀이 있었기 때문이다.

 

<헌릉의 특별한 점2 - 5개의 고석>

혼유석('혼령이 노니는 곳'이란 뜻으로 '상석'이라고도 한다)은 보통 4개의 고석(鼓石)이 받치고 있는데 헌릉은 5개가 받치고 있다.

 

<헌릉의 특별한 점3 - 태종우>

태종우는 혼유석 받침대에 뚫린 구멍이다. 극심한 가뭄에 나라가 시달리자 태종이 하느님을 만나 비를 내리게 했다는 이야기가 전하는데 믿거나 말거나... 몇년 전 TV에서 방영된 사극 <용의 눈물>은 '태종우'에서 제목을 딴 것이 아닐까 추측해 본다.

 

<헌릉의 난간석과 병풍석>

 

<헌릉의 곡장과 석양, 석호>

석호는 능을 수호하는 돌로 만든 호랑이이고, 석양은 사악한 것을 물리치는 돌로 만든 양으로 봉분 주위에 배치한다.

 

<헌릉 봉분에서 본 정자각과 주변>

 

<헌릉 남쪽의 오리나무 군락>

습지대에 심은 오리나무 대군락이다. 오리나무는 길 가던 나그네가 거리를 알 수 있도록 5리마다 심은 나무이다. 안압지 주위를 비롯하여 전국의 습한 지역에는 오리나무가 널리 자라고 있었다고 한다. 나막신을 만드는데 쓰이는 나무이며 하회탈을 만드는데도 쓰였다. 열매나 껍질은 붉은 물감의 재료로 쓰인다.

 

'서울특별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기정기념관, 손기정체육공원  (0) 2015.08.03
종묘  (0) 2015.05.13
봄날의 선릉과 정릉  (0) 2015.03.31
광화문광장의 대한민국역사박물관  (0) 2014.11.09
2014. 10/1.하늘공원의 억새, 갈대밭  (0) 2014.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