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1 5

22.09.오쇠동 애견 카페 Hey, the green

난 개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반려동물로 고양이 한 마리를 키우긴 하는데 그것도 동거인이 주인이다. 개는 내 입장에서 보면 부잡스럽고 일단 짖는 것이 시끄럽기 때문이다. 고양이는 덜 시끄러우려니 했는데 우리 집 냥이는 소리만 좀 작다뿐이지 징징거리거나 보채기, 따라다니며 자기 뜻을 관철시키기 등이 강아지못지 않고 애교도 장난이 아닌 일명 '개냥이'이다. 주인(집사)이 퇴근해서 샤워를 하는 동안에도 문밖에서 계속 울어서 이제는 아예 화장실에 들여놓는다. 물을 좋아하지 않는 고양이라는 선입견과 달리 이 녀석은 변기 뚜껑 위에서 자리를 잡고 샤워기 물줄기를 발로 낚아채기(!)도 하고 거품을 보며 발로 휘젛기도 한다. 거기까지가 반려동물에 대한 내 입장(!)인데 갑자기 작은 딸이 분위기 전환을 시켜준다며 애견..

경기도. 인천 2022.11.20

22.08.세종시의 설렁탕집과 군산의 아버지 산소

22년 8월 27일, 동생과 군산시 임피면에 있는 아버지 산소에 들렀다. 벌써 기억이 가물거리는데 아마 추석 전에 넉넉히 날을 잡고 성묘를 하러 갔었을 것이다. 동생 차를 얻어 타고 오전 10시쯤 출발하여 가다가 세종시 외곽 국도변에 있는 설렁탕 집에 들러 점심을 먹고 다시 군산으로 향했다. 설렁탕 집은 국도 괜찮았지만 주변 풍경과 마당의 꽃밭이 마음에 들었다. 군산시에 있는 아버지 산소에 들러 성묘를 하고 주변의 잡초들을 정리한 후 근처에 있는 이모님 댁에 잠깐 들렀다가 다시 서울로 향했다. 서울로 올라오는 길에 지척에 있는 대야면 탑동마을의 탑동삼층석탑을 보고 다시 서울로 향했는데 길이 막혀 꽤 늦은 시각에 도착했다. 위부터 붉은병꽃, 독말풀 열매, 풍선덩굴 열매, 유홍초이다. 백일홍, 채송화, 달리..

전라도 2022.11.17

22.08.군산시 대야면 죽산리 군산탑동3층석탑

군산시 임피면 호원대학교 주변에 있는 아버지 산소에 들렀다 서해안고속도로를 타러 나오는 길목에 이 탑이 있다. 그냥 지나치려다 20여년 전에 자세히 본 것을 마지막으로 이 길 앞을 자주 지나면서도 그냥 지나쳐서 오랜만에 추억을 되새기며 이곳에 들렀다. 고향인 임피를 떠난지 50년이 지났다. 탑동(탑골)은 대야면 소재이지만 그곳에 사는 아이들은 군산선 철길을 건너 제법 먼 거리에 있는 임피면의 술산초등학교에 다녔다. 마을이 임피면과 대야면 중간에 있지만 대야초등학교보다 임피면의 술산초등학교가 거리상 더 가까웠기 때문이었다. 그 때문에 중간에 있는 넓은 들을 매일 오가는 친구들은 봄이면 보리밭에서 문둥이가 나온다는 소문 때문에 공포에 떨곤했다. 나는 어렸을 때 탑동(탑골)에 있는 친구 집에 종종 놀러갔지만 ..

전라도 2022.11.17

22.08.마곡 이대병원 보구녀관

≪보구녀관(普救女館)≫ ...이 건물은 전에는 한국인 신사의 거주지였으나 지금은 여자와 아이들의 진료소와 병원으로 쓰이고 있다... 원래 있던 창문은 외국 창문으로 바꾸었는데 햇빛을 잘 받기 위해서이다... 현관의 끝에는 큰 방이 있는데 여자들이 의사의 진료를 받을 시간이 올 때까지 기다리는 곳이다. 방바닥은 돌로 되어있고 회반죽으로 표면을 매끄럽게 한 후에 기름먹인 종이를 발라서 대리석처럼 매끄럽다. 돌 아래에 불을 때서 따뜻하게 한다. 여자들은 방석 위에 앉는다. 현관을 열고 들어가면 진료하는 방이 있다. 진료실에는 책장, 외과수술 도구가 들어있는 장, 수술대가 있다. 진료실 너머에 약제실이 있고 그 너머에 있는 방은 수술실로 만들어질 것이다. 병실은 이 건물의 뒤쪽과 이 건물 뒤편의 더 작은 건물에..

서울특별시 2022.11.11

22.04.연세대박물관 학교史

최정규 동판은 1960년 4.19혁명 시위 중 총격으로 사망한 동문(의예 2년)의 동판부조로 대강당 3층에 설치되었다. * 이하 내용(설명)은 박물관의 안내문, 또는 자료에 의함. * 왼쪽의 투조작품 '한열이를 살려내라'는 2017년, 최병수 作, 철, 1,600×60cm. * 오른쪽의 이한열추모비 제목은 '솟구치는 유월'이다. 1988년 김봉준 作. 이한열추모비는 1988년 이한열 동산에 건립되었다가 2015년 현재의 이한열기념비로 교체된 후, 김겸박사와 이경복 작가의 보존처리를 거쳐 2017년 6월 4일 박물관에 재설치되었다. 왼쪽부터 알렌, 언더우드, 에비슨, 세브란스, 존 언더우드이다. 선교사들은 교회를 세우고 성경을 번역하며, 대중계몽과 청년운동을 벌이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하였다. 왕실과 친밀한..

서울특별시 2022.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