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앙코르 왓 답사기2 (쁘레아 칸과 먹거리, 마실거리, 토양과 나무)

큰누리 2012. 5. 31. 14:08

2010.1/15-1. 앙코르 톰과 쁘레아 칸, 그리고...

첫날인 오늘은 아침 8시 반 집합이다. 어제 밤 오늘의 답사지를 훑어보다 늦게 잠이 들었다. 호텔에서 튼 경쾌한 음악소리에 7시에 눈을 떴다. 2층 객실에서 창밖으로 내려다보니 파란 수영장과 초록의 야자나무, 꽃 향기가 상큼하다. 사람들이 수영장 옆 야외 벤치에서 삼삼오오 모여 아침을 먹고 있고 그 중의 반은 일행이다. 8시 쯤에 내려가 호텔의 뷔페식으로 아침을 먹었다. 

 

<캄보디아의 먹거리와 물>

동남아인들이 많이 먹는 쌀국수 계란 요리(프라이드, 스크램블드에그)만 별도 코너에서 직접 요리해주고 나머지는 뷔페식이다. 나는 여행할 때 현지식을 즐기는 편이다. 입에 꼭 맞지 않더라도 현지식을 먹으면 그 사람들의 먹거리나 문화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이곳은 가쌀국수와 납작하게 누른 쌀국수 두 종류를 밥 만큼이나 일상적으로 먹는 듯하고, 닭고기와 돼지고기 흔했다. 이곳의 돼지고기는 특히 맛이 좋다고 한국 가이드 분이 권했는데 너무 느끼해서 내 입에는 잘 맞지 않았다. 쌀국수는 부드러워서 면발 자체도 좋지만 닭으로 육수를 낸 구수하면서도 담백한 국물은 특히 좋았다. 야채볶음밥도 뷔페식에서 꼭 만났는데 먹은 적은 없다. 밝은 분홍색 소시지 우리나라 것과 맛이 비슷하고 땅콩과 콩 조림(볶음?)도 밥상에 자주 올라왔다. 야채샐러드는 두 세 개의 소스로 먹을 수 있는데 양상추가 주종이고 당근을 비롯한 야채를 곁들인 것은 세계 공용인 듯... 후식용 야채로는 토마토, 수박, 오이, 바나나가 공식적이고 아스파라가스 줄기는 다른 야채나 고기를 볶을 때 거의 공통으로 넣었다.

 

한국식당에서는 항상 무나 배추김치를 먹을 수 있다. 김치류는 현지식당에도 모두 있는데 어디서나 맛이 좋았고, 이곳 사람들이 김치라고 부르는 무생채는 특히 맛이 좋았다. 한식집의 필수요리인 된장찌개와 새콤달콤한 무 물김치 중요한 조미료 한 가지가 빠진 것처럼 맛이 싱거웠다. 뷔페식에서 은 종류가 다양하고 맛이 좋으므로 현지식이 입에 맞지 않으면 빵으로 대체해도 무리가 없을 성 싶다.

 

 <>

물은 여행할 때 특별히 신경이 쓰이는 품목이다. 캄보디아의 물은 위생에 문제가 있고 생수는 비싸단 말을 많이 들어서 더욱 신경이 쓰였다. 호텔에서 기본 서비스로 500ml 물병 2개가 나오는데 같은 크기의 물을 사니 2달러였다340ml 캔 맥주와 같은 가격이다. 더운 나라라 물이 많이 필요한데 일일이 사 먹어야 하나 걱정을 했지만 다행히 여행사 측에서 전용버스의 아이스박스에 얼음을 채워 매일 충분한 양의 물을 대줘서 편하게 쓸 수 있었고 배탈 난 사람도 없었다.

 

 

<호텔 로열 엠파이어의 뷔페식>

가장 맛있는 이곳의 대표 음식 쌀국수는 다 먹은 다음에 생각나서 찍었다^^. 

 

 

<캄보디아의 과일>

대체로 열대지방이니 만큼 달착지근하거나 코코넛 속처럼 다소 무미건조한 맛이 대세이다. 다른 과일은 괜찮은데 토마토는 먹음직스런 생김새와 달리 싱거웠다. 간간이 과일가게에서 사 먹은 망고스틴, 망고 특히 맛있고 과일의 황제인 두리안을 현지에서 꼭 먹고 싶었는데 어쩌다보니 결국 못 먹었다. 

과일은 kg 단위로만 팔고 2달러만 주면 봉지가 터지도록 담아준다. 더운 지방이어서 향신료가 발달했음 직한데 시금치처럼 생긴 것 말고는 특별히 강한 향신료는 없었다. 쌀국수 첨가 조미료에 꼭 따라오는 다진 홍고추는 무척 맵지만 향기가 있어 한국에 사오고 싶을 만큼 탐이 났던 향신료이다.

 

 

 <과일가게>

수박, 바나나, 두리안, 리치, 망고, 망고스틴, 포도, 코코넛, 오렌지 등-모두 먹을 만 하다.

 

 

8시 30분, 이번 답사의 첫 번째 코스인 쁘레아 칸, 닉 뽀얀, 따 쁘롬을 향해 버스를 타고 이동했다. 시내를 가로질러 20분을 가니 앙코르 유적 관람권 전용 매표소가 있었다. 매표창구에 서서 즉석 촬영을 하고 그 사진을 넣어 만든 앙코르 유적 입장권을 매표하는데 3일 이용권 가격은 40달러이다. 우리나라처럼 단체입장 할인이 있는지는 모르겠다. 직접 매표를 하지 않으니 음식 값이나 입장료는 일부러 묻지 않으면 가격을 알 수 없다.

그 입장권은 앙코르 관련 유적지에서 프리 패스인데 잃어버리거나 사진에 물이 닿아 훼손되면 재구입을 해야 하고 유적지를 입장 할 때마다 일일이 확인한다. 여행사에서 준 목걸이에 넣고 버스로 조금 이동하니 목적지가 보이고 유적지만 전담한다는 캄보디아 경찰이 버스에 올라와 입장권 점검을 하는데 매일 한 두 번씩 치러야하는 절차이다.

 

 

 <앙코르 유적 티켓 매표소> 

1일권, 3일권, 일주일권(60달러)을 따로 판다.

 

  

<앙코르 톰 입구의 관광용 코끼리>

 

 

<앙코르 톰 입구의 고푸라탑>

바이욘사원, 삐미아나까스를 보려면 반드시 이곳을 통과해야 한다. 우리의 첫 답사지인 쁘레아 칸은 이 문으로 들어가 앙코르 톰을 통과하면 그 너머에 있다.

  

 

<캄보디아의 유적관련 이야기>

앙코르 톰 유적지(바이욘, 빠미아나까스, 코끼리 테라스, 레퍼왕 테라스)를 갈 때마다 반드시 거쳐야 하는 남쪽 고푸라 탑문과 그 앞으로 유해교반 다리가 보인다. 고프라 탑문 위의 안면상은 악마를 물리치고 중생을 보호하는 신이다. 힌두교의 인드라신이면서 불교의 제석천이라 할 수 있는데 이 신상을 사면으로 새겨 보는 이를 압도한다.

앙코르와 관련한 유적은 사원이 바뀔 때마다 맨 앞에 방어구조인 해자가 있고, 해자 위 다리 양쪽의 유해교반 조각 사이를 건너면 바로 성문(혹은 고프라 탑문)이 이어지는 구조이다.

 

 

<앙코르 톰 입구의 고푸라 탑문의 인드라(제석천) 4면상> 

 

 

<캄보디아의 종교>

앙코르 유적답사와 관련 없이 개인적으로 동양의 신화에 대해 관심이 있어서 지난 여름에 1달 정도 책을 심도 있게 읽었는데 힌두교에서 수많은 신들이 등장하는데다 아바타(신들의 분신 개념으로 이해하면 되는데 특히 힌두교가 그렇다.)까지 얽혀 상당히 애를 먹었다.

 

캄보디아는 원래 힌두교 국가였는데 이 나라의 위대한 영웅이면서 수많은 사원을 건축하여 오늘 날까지 캄보디아를 관광으로 먹여 살리는 왕 중의 한 명인 자야바르만 7세 불교로 개종하면서 기존의 힌두식 건물에 불교를 얹은 모양새가 되었으니 나 같은 문외한에게는 더더욱 난해하다. 실제로 자야바르만 7세가 심혈을 기울여 본인이나 부모를 위해 지은 사원에서조차도 불교적인 색채를 전혀 느낄 수 없었다. 이런 역사적인 복잡한 상황에다 시간이 지나면 얼룩진 재색으로 변하는 사암이 건축이나 조각의 주재료이니 우리네 같은 외국인 관광객의 눈에는 복잡하지만 비슷한 건물로 느낄 수밖에 없을 듯하다. 각설하고...

 

<캄보디아의 토양과 나무>

버스에서 내려 잠깐 赤土 길을 걷자니 양쪽으로 죽죽 뻗은 나무들의 크기가 예사롭지 않은데 수종은 비슷해 보인다. '赤土'는 우리나라의 황토보다 붉어서 임의로 붙인 명칭으로 우리가 밟은 캄보디아 땅은 모두 붉고 입자가 고운 이 흙으로 덮여있고 길가의 집이나 나무들도 뻘건 흙을 뒤집어쓰고 있다.

가이드로부터 그 앞에서 앙코르 유적에서 빼놓을 수 없는 3종류의 나무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뽀얀 줄기에 끝도 없이 일자로 쭉 뻗은 ♣이엥나무는 호롱불과 방수제의 원료이다. 땅 위 부분에서 몇 갈래로 갈라졌다가 위로 올라가면서 일자형태가 되는 것은 스뽕나무로 우리가 앙코르 유적과 동등하게 떠올리는(유적을 껴안았다고 해야 할까, 아니면 파먹어 들어갔다고 해야 할까) 이 두 나무의 뿌리가 바로 사원 파괴의 주범들이다. 그 외에 많이 만나는 나무가 흑단나무인데 모두 굵고 직선으로 된 좋은 수종임에도 불구하고 캄보디아 전국에 퍼져있는 1000만개 가량의 지뢰 때문에 벌목이 어려워서 경제적으로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한다. 이래저래 가난할 수밖에 없는 나라이다.

 

인드라 신 사면상의 탑문 뒤에서 가이드로부터 간단히 설명을 들은 후 다시 버스로 10분 못 되게 이동한 후 쁘레야 칸에 도착했다. 앙코르 관련 유적이 19세기 말에 우연히 프랑스 식물학자에 의해 발견되기 전까지 이곳은 현지인들이 들어오기를 꺼려하는 밀림지역이었다.

 

 

 <앙코르 톰/쁘레아 칸 답사에 앞서 설명 중인 가이드 손부장과 일행들>

 

 

<앙코르 유적 파괴의 주범인 스뽕나무>

 

 

<앙코르 유적 파괴의 주범인 이엥나무>

 

 

<쁘레아 칸 입구의 가루다/시바신의 독수리 닮은 탈 것>

 

 

<우리나라의 석굴암을 닮은 접착제 없이 돌로만 축조한 쁘레아 칸의 건물 축조 공법>

 

 

쁘레아 칸의 유해교반은 캄보디아에서 이후에 사원을 짓는 교본이 된 곳이라고 한다. 유해교반은 힌두교 창세신화에서 악신과 선신이 영생불멸의 음료인 암리타 얻기 위해 나가라는 뱀의 꼬리를 잡고 천년 동안 바닷물을 퍼 올리는 공동 작업을 한 것을 말하고, 마지막에 두 팀이 힘이 달리자 비쉬누신이 거북이로 환생해서 힘에 부친 양쪽 신들을 도와 암리타를 구했다. 악신 차지가 된 암리타를 해와 달이 선신에게 알려서 결론은 선신에게 돌아갔고 이에 분노한 악신이 해를 삼켜 일식이 일어난다고 한다. 그 과정에서 태어난 것이 압사라이다. 왜 그 유해교반이 크메르인들에게 그토록 의미가 있는지 나는 아직 모르겠다.

 

어쨌거나 자야바르만 7세는 아버지를 위해 이 사원을 지었고 더불어 크메르 왕조에서 신성시하는 검을 사원에 봉헌해서 쁘레아 칸은  ‘신성한 칼’이란 뜻을 담고 있다. 자야바르만 7세가 수도를 복원하면서 임시로 머물렀던 곳인 만큼 다른 유적보다 부속건물이 일단 많아서 볼거리가 많다. 건물 입구에서 맨 먼저 만나는 동쪽 탑문 벽 왼쪽의 가루다는 비쉬누 신이 타고 다닌 일종의 독수리이어 돌아본 앙코르 톰 관련 건물 중에서 가장 부속 건물이 많고 복도가 중앙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진 점이 특히 기억에 남는다. 앞서 설명한 스뽕과 이엥나무의 뿌리로 인해 피해를 본 곳이기도 하다.

 

 

<쁘레아 칸의 유해교반 다리>

 

  

<남성과 여성을 상징하는 힌두교의 요니와 링가>

야릇한 이 상징물, 캄보디아의 사원마다 만날 수 있다. 

 

 

<쁘레아 칸의 부속건물들>

 

 

  

<쁘레아 칸 전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