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198

20.0415-1서서울호수공원(주로 시설)과 길냥이 밀크

국회의원 선거를 마치고 그냥 집으로 돌아오기 아까운 화창한 날이라 서서울호수공원에 들렀다. 집에서 그다지 멀지 않음에도 꽤 오랜만에 들렀다. 호수 주변을 둘러싸고 피는 히어리(송광납판화)가 서서울호수공원에서 특별한 볼거리인데 시기적으로 늦어서 놓쳤다. 대신 그 동안 본 적이 없는 길냥이 밀크가 재생공원인 '몬드리안 정원'에서 터줏대감 노릇을 하고 있었다. 사람의 만행(!)으로 한쪽 눈이 상했다는 얼룩 냥이는 당당한 밀크와 달리 멀리 안쪽 화단에서 쪼그린 채 졸고 있어 안쓰러웠다. 몬드리안 정원은 갈 때마다 무언가 달라져 보이는데 이유는 특정한 원예식물을 약간씩 바꾸어 심기 때문인 듯 하다. 서서울호수공원 방문객은 호수를 돌며 잰 걸음으로 운동을 하는 사람과 몬드리안 정원에 앉아 조용히 이야기를 하는 사람..

서울특별시 2020.05.07

서울식물원 10월 중순의 식물들

온실의 식물들은 계절과 관계없기 때문에 큰 변화가 없겠지만 내가 본 10월 12일의 시점이 아니라면 야외의 정원이나 호수원의 경우 봄에는 많은 식물들을 다양하게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인근에 살면서도 개인이 운영하는 작은 식물원이려니 생각하다 우연히 들렀는데 공간이 아주 넓어서 앞으로 충분히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고, 상당히 큰  호수와 습지원, 편의시설이 있고, 또한 산책길, 잔디밭 등이 넉넉히 조성되어 지역민뿐 아니라 서울의 좋은 문화공간이 될 것을 기대해 본e다. --야외의 식물들(2019. 10.12. 현재)--               --온실의 식물들(2019. 10.12. 현재)--                호주 코알라의 먹이식물     지중해 주변에서 자라는..

서울특별시 2019.12.15

서울식물원 온실

♣ 야외 주제정원, 열린숲, 호수원, 습지원 : 연중무휴 ♣ 식물문화센터(온실, 상설전시관, 로비프로젝트) : 하절기(3~10월) - 09:00~18:00(17:00 입장 마감) 동절기(11~2월) - 09:00~17:00(16:00 입장 마감)-매주 월요일 휴관, 기타 휴관일은 식물원 홈페이지 공지 참조 ♣ 입장료 징수 구간 : 온실 및 주제정원 (열린숲, 호수원, 습지원은 상시 무료 개방) ♣ 이용요금 : 대인은 19세 이상 65세 미만, 청소년은 13세 이상 18세 이하, 소인은 6세 이상, 12세 이하 개인 (대인 5,000원, 청소년 3,000원, 소인 2,000원) 단체 (30인 이상) (대인 3,500원, 청소년 2,100원, 소인 1,400원) ♣ 무료입장 - 6세 미만, 65세 이상. 1..

서울특별시 2019.12.14

서울식물원(서울보타닉 파크) 무료 개방 구간(주제정원, 호수원)

서울식물원은 세계 12개 도시 식물과 식물문화를 소개하고 도시의 생태감수성을 높이기 위해 서울에 남은 마지막 개발지, 마곡에 조성되었다. 멸종위기 야생식물 서식지를 확대하고 번식이 어려운 종의 증식 연구, 식물유전자원 교배, 품종 개발 등 식물을 육성하고 복원하는 식물연구보전기관 본연의 역할에도 소홀하지 않도록 하겠다. 한강, 궁산에 자생하는 야생 동식물이 식물원으로 보금자리를 확장해 번성할 수 있도록 도시생태계 복원과 확대를 위한 노력도 기울일 예정이다. --서울식물원장의 인사말에서 요약, 발췌-- ♣ 열린숲, 호수원, 습지원 : 연중무휴 ♣ 주제원(온실, 주제정원) : 평시(3~10월) - 09:30~18:00(17:00 입장 마감) 동절기(11~2월) - 09:30~17:00(16:00 입장 마감)..

서울특별시 2019.12.12

개화산 미타사 석불입상

지정 : 국가보훈처 지정 현충시설.관리자 : 개화산 전투전사자유족회.소재지 : 서울특별시 강서구 개화동로13길 56-33.1950년 6월 25일 북한군이 무력남침하여 조국의 운명이 위기에 처하자 육군 제1사단 11, 12, 15연대 소속 장병 1,100여명은 김포지구로 후퇴하여 6월 26일부터 30일까지 개화산에 최후의 방어진을 치고 아군으로 위장한 적의 대병력을 맞아 전투를 벌였으나 본부와 통신이 두절되고 탄약과 보급이 끊긴 채 북한군의 수와 화력에 밀려 부대원 전원이 개화산 골짜기에서 장렬히 산화하는 비운을 맞이하였다. 호국충혼비는 조국과 민족을 수호하기 위하여 개화산 전투에서 신명을 바치신 호국영령들의 넋을 위로하고 그분들의 고귀한 업적과 숭고한 희생정신을 후세에 전하기 위해 건립추진위원회가 199..

서울특별시 2017.06.24

강서둘레길 1코스(개화산숲길)

강서둘레길은 개화산, 치현산, 서남환경공원, 강서한강공원을 잇는 총 연장 11.44km로 3개의 코스가 있다. 제 1코스 3.35km, 제2코스 3.53km, 제3코스 4.56km이다.   ♣ 1코스(개화산숲길)는 방화근린공원-약사사-개화산 전망대-봉화정-아라뱃길 전망대-숲속 쉼터-호국충혼비-미타사- 하늘길전망대로 1시간 10분 정도 거리이다. 나는 방화공원 후문에서 올라 하늘길전망대쪽으로 내려가지 않고 호국충혼비, 미타사, 내촌마을 방향으로 내려왔다.♣ 2코스는 방화근린공원-치현산, 꿩고개근린공원-치현둘레 소공원-서남환경공원-메타세콰이어 숲길-옹기골 근린공원으로 이어진다.♣ 3코스는 치현둘레 소공원-강서습지생태공원-강서한강공원-행주대교 아래-김포대로-행주나들목-상사마을-개화산전망대로 이어지는 가장 긴 ..

서울특별시 2017.06.24

개화산 약사사

개화산(開花山)의 원래 이름은 주룡산(駐龍山)인데 신라시대에 주룡선생이라는 도인이 이곳에 살면서 매년 9월 9일에 동자 두 세명을 데리고 높은 곳에 올라가 술을 마시며 구일용산음(九日龍山飮 : 구구절에 용산에 올라 술을 마시다)이라고 하였다 하여 주룡산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선생이 돌아간 후에 그 자리에 이상한 꽃 한 송이가 피어났고 그 이후부터는 개화산(開花山)이라 일컬어졌다고 한다. 선생이 살던 곳에 절이 세워졌는데 처음에는 절 이름을 개화사(開花寺, 고려 공민왕 2년 1353년)라 하였으나, 개화사에 있는 좋은 약수 때문인지 조선 말기쯤에는 약사사(藥師寺)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 산 정상에는 조선 조에 사용했던 봉화대가 있었으나 그 터만 남아있던 것을 최근에 복원하였다. 또한 개화산에는 미타사(고려..

서울특별시 2017.06.22

국립서울현충원3 (이승만, 박정희, 김영삼, 김대중 대통령 묘소)

대한민국의 대통령은 이승만-윤보선-박정희-최규하-전두환-노태우-김영삼-김대중-노무현-이명박-박근혜-문재인 대통령이다. 이분들 중 고인이 된 분들은 이승만, 윤보선, 박정희, 최규하, 김대중, 김영삼, 노무현대통령이다. 이들 중 4분은 서울국립현충원 대통령 묘역에 있고, 윤보선대통령은 충남 아산시 음봉면 동천리 가족묘지에, 최규하 대통령은 대전 국립현충원에, 노무현대통령은 고향인 경남 김해시 진영읍 봉하마을에 있다.  대통령 묘소 입구에는 오른쪽 아래와 같은 공간이 설치되어 있고 그곳에 방명록이 비치되어 있다. 또 다른 특징은 국립현충원의 대통령 묘소에는 여성의 가발을 연상시키는 비석(碑石)이 세워져 있다는 점이다. 대통령을 상징하는 봉황과 그 아래에 무궁화 한 송이가 조각되어 있는데 얼핏 보면 하얀 단발..

서울특별시 2017.06.16

국립서울현충원2 (국가유공자 묘역, 장군묘역, 장병묘역, 위패봉안관)

≪국립서울현충원≫♣ 설립일 : 1955. 7. 15 ♣ 설립목적 : 국가유공자의 유골 또는 유해를 안장하고, 그 충의와 유훈을 추앙 ♣ 소재지 : 서울특별시 동작구 현충로 210(동작동 산41-2) ♣ 규모 : 143만㎡, 17만 2천여 위 안장. 국립서울현충원 국가유공자 제1묘역>1983. 10. 9. 아웅산 테러에서 순국한 서석준 부총리, 이범석 외무부장관 등 17위, 진의종 국무총리, 이은상 시인, 이선근 박사 등 40위가 모셔져 있다. 국립서울현충원 장군묘역>장군 1묘역에는 광복 이후 국군의 창설과 발전, 6.25전쟁, 베트남전, 대간첩 작전에서 전공을 세운 군 장성들이 안장되어 있다. 장군 제1, 2, 3묘역으로 조성되어 있으며 육군 265위, 해군 51위, 공군 39위 등 총 355위가 모셔져..

서울특별시 2017.06.16

국립서울현충원1 (정문 주변, 장병묘역, 국가유공자묘역, 애국지사묘역)

설립일 : 1955. 7. 15설립목적 : 국가유공자의 유골 또는 유해를 안장하고, 그 충의와 유훈을 추앙소재지 : 서울특별시 동작구 현충로 210(동작동 산41-2)규모 : 143만㎡, 17만 2천여 위 안장.1955년 7월 15일 국군묘지로 창설되어 전사 또는 순직군인과 군무원 및 종군자의 영현을 안장하였으나, 10년 후인 1965년 3월 30일 국립묘지로 승격되어 국가원수, 애국지사, 순국선열을 비롯하여 국가유공자, 경찰관, 전투에 참가한 향토예비군 등이 추가 안장되었다. 1996년 6월 1일 국립묘지관리소라는 관리기관 명칭이 국립현충원으로 변경되었고 2006년에는 국립서울현충원으로 변경되었다. 계속된 안장으로 서울의 국립현충원이 만장되자, 1979년 국립대전현충원을 창설하여 그곳에 안장하고 있다...

서울특별시 2017.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