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546

울산 대왕암

≪울산 대왕암의 전설≫삼국통일을 이룩했던 신라 30대 문무대왕은 평시에 지의법사에게 말하기를 "나는 죽은 후에 호국대룡이 되어 불법을 숭상하고 나라를 수호하려고 한다." 하였다. 대왕이 재위 21년만에 승하하자 그의 유언에 따라 동해구의 대왕석에 장사를 지내니 마침내 용으로 승화하여 동해를 지키게 되었다. 이렇게 장사지낸 문무대왕의 해중릉을 대왕바위라 하며 그 준말이 '댕바위'로 경주시 양북면에 있다. 대왕이 돌아가신 뒤에 그의 왕비도 세상을 떠난 후에 용이 되었다. 문무대왕은 죽어서도 호국의 대룡이 되어 그의 넋은 쉬지 않고 바다를 지키거늘 왕비 또한 무심할 수가 없었다. 왕비의 넋도 한 마리의 큰 호국룡이 되어 하늘을 날아 울산을 향하여 동해의 한 대암 밑으로 잠겨 용신이 되었다고 한다. 그 뒤 사람..

경상도 2014.10.17

울산 대왕암공원과 울기등대 구 등탑

2차 경주 남산 안전정복 답사(14. 10.3-10.5)를 갔다가 이곳과 경주 양남 주상절리군(파도소리 길)을 덤으로 들렀는데 일행 모두를 행복하게 만든 절경이었다. 경주 남산은 이미 2009년 12월에 완전정복(!)을 한 차례 했기 때문에 몸이 부실한 나는 두 곳이 더 힐링이 되었을 정도이다. 울산이라면 현대조선이나 매연이 가득한 공업도시가 연상되어서 별 기대를 하지 않았는데 대왕암공원의 규모와 울창한 해송숲을 보고 놀랐다. 더 놀라운 것은 대왕암공원 끝에 붙어있는 대왕암(대왕바위)이었다. 대왕암은 경주 봉길리에 있는 문무대왕 수중릉으로 알려진 대왕암만 있는 줄 알았다. 그런데 문무대왕비가 사후에 용이 되어 바다에 잠겼다는 울산의 대왕암은 경주의 대왕암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규모가 크고 경관이 아름..

경상도 2014.10.16

대부해솔길 구봉도 해안길과 종현어촌체험마을

사진 왼쪽 밖에 종현어촌체험마을이 있다. 밀물 때라면 모두 물이 찰 곳이다. 맨 왼쪽은 구봉도 낙조전망대, 중앙은 개미허리 아치교이다. 어촌체험에 필요한 장화들일 것이다. '집합'의 아름다움이 느껴진다. 대부해솔길에서 못본 낙조를 이곳에서 제대로 보았다. 전면의 섬(?)은 우리가 들렀던 구봉도와 꼬깔(이)섬이다.

경기도, 인천 2014.10.14

안산 대부해솔길 1코스 구봉도

≪안산 대부해솔길 1코스 구봉도≫ 구봉도는 안산 대부도 북쪽에 위치한 섬으로 봉우리가 아홉개가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지금은 대부도와 이어졌고, 대부도는 시화방조제와 탄도방조제로 육지와 이어져 있으므로 지금은 구봉도나 대부도 둘다 섬이 아니다. 대부해솔길 1코스인 구봉도는 종현어촌체험마을 주차장에서 산책로를 따라 올라가며 섬 끝에 낙조전망대가 있다. 제대로 1코스를 보려면 북망산을 포함행야 하지만 우리는 2시간 동안 구봉도쪽으로 왕복 4km 정도의 구간만 둘러보았고 구봉도 숲속 산책로로 들어갔다가 해안길로 돌아나왔다. 숲속 산책로 중간 쯤에 천영물약수터가 있는데 계단으로 내려가 약수터 아래의 해안에서 잠시 여유를 부렸다. 다시 숲속 길을 걸으면 구봉도 끝에 이름처럼 날씬한 개미허리 아치교가 꼬깔(이)섬..

경기도, 인천 2014.10.14

2014. 10/1.하늘공원의 억새, 갈대밭

시기가 좀 일러서 만개한 억새는 볼 수 없었지만 대신 사람은 별로 없어서 좋았다. 걷기 동호회에서 10월 16일에 달빛 걷기를 한다고 연락이 왔으니 이 즈음에는 활짝 만개한 억새밭을 볼 수 있을 것이다. 방문한 일자는 10월 2일(사진 속의 날짜는 오기!)이었는데 이날 유감스럽게 비가 쏟아져서 두루 보지 못했다. 평화의 공원에서 구름다리로 넘어가 계단으로 올라가려는데 평화의 공원 출구쪽에서 토끼 한마리를 만났다. 방생한 녀석 같은데 이곳에서 자리를 잡은 지 제법 됐는지 사람을 보고 그리 놀라지 않았다. 우리가 올라가려던 계단은 공사중이라 맹꽁이열차를 타고 올라갔다.  하늘색 구조물이 구름다리이다. 구름다리 너머 지그재그로 보이는 것은 하늘공원으로 올라가는 계단인데 당시에 공사 중이라 임시로 폐쇄된 상태였..

서울특별시 2014.10.13

시화호 조력발전소와 달전망대

시화방조제는 오이도에서 대부도로 이어지는 통로이며 대부도는 방조제 덕분에 지금은 이름만 섬으로 남았다. 예전의 시화호는 방조제 때문에 죽은 호수, 썩은 물의 대명사였다. 하지만 2004년부터 건설하기 시작하여 2013년에 완공, 가동하기 시작한 시화호 조력발전소 덕분에 되살아나고 있다. 조력발전은 하루에 두번 밀물과 썰물 때 생기는 방조제 외해와 내해의 수위차를 이용하여 수차발전기로 전기를 만드는 친환경적 발전방식이다. 밀물 때 바닷물을 시화호로 끌여들여 발전을 하고 썰물 때 수문으로 배수를 한다. 발전소 규모는 254MW이며 조력발전소로는 세계 최대 규모라고 한다. 조력발전소 앞에 조력문화관과 T-LIGHT공원이 있어서 조력발전소에 대한 이해에 큰 도움이 될 뿐 아니라 여가를 즐기거나 휴식하기에도 좋다..

경기도, 인천 2014.10.12

화천 비수구미 마을과 묵나물비빔밥

지도를 검색하면 비수구미 계곡, 마을, 민박이 다 뜨고 비수구미 마을을 체크하면 비수구미 민박으로 자동 연결된다. 비수구미 마을의 안내도에는 비수구미 마을로 표기되어 있고 아래의 철책문을 들어서면 민박집과 옆집, 다리 건너편에 닭볶음탕집 한채가 더 있다. 집은 3채이지만 모두 같은 집안에서 운영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니 마을로 보든 비수구미 민박이라는 업체로 보든 그것은 보는 이의 마음일 것 같다. 철책문을 들어서면 계곡 건너편에 '안식년 실시 출입통제구역' 표지가 보인다. 콧구멍다리(내가 임의 로 붙인 이름) 건너편에 있는 파란 지붕집이 그 유명한 묵나물비빔밥을 파는 비수구미 민박이다. 왼쪽으로 같은 사람 소유로 보이는 집 한채가 더 있고 이편에 닭볶음탕집이 한채가 있다. 이 위치에서 볼 때 비수구..

강원도 2014.09.29

화천 비수구미계곡

얼마 전에 TV에서 '비수구미 민박'을 하시는 가족들의 일상을 다룬 프로그램을 보았다. 다녀온 지 만3년이 지났으니 지금은 상황이 좀 달라졌을 것 같기도 하고 크게 달라질 것이 없는 곳이어서 같은 모습일 것 같기도 하다. 2011년과 12년에 국내여행에 필이 꽂혀 매주마다 미친 듯이 승우여행사의 국내여행을 다녔다.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좋은 곳이 많은 여행사의 프로그램을 3년 정도 따라다니면 국내의 명소는 거의 섭렵할 수 있을 것 같았다. 하지만 직장생활을 하면서 부실한 몸으로 무리를 한 탓에 1년 반 정도 쫓아다니고 건강이 거덜나 버렸다. 그 뒤로 1년 여를 후유증 때문에 상당히 고생했다. 화천의 비수구미계곡도 승우여행사를 따라간 곳 중의 하나인데 여러 모로 기억에 남는 곳이다. 일단 비수구미란 이름부..

강원도 2014.09.28

귤꽃

운향과에 속하는 일본 원산의 상록소교목(늘푸른작은키나무)이며, 키는 3~5m정도이다. 우리나라는 제주도에서 과일나무로 기른다. 잎은 피침형, 넓은 피침형으로 어긋난다. 5~6월에 잎겨드랑이에 향기로운 하얀꽃이 1송이씩 달린다. 둥글납작한 열매는 11월에 주황색으로 익는다. 열매는 껍질이 얇고 과육과 잘 떨어지며 맛이 좋아 인기가 높다. 꽃 중앙의 길다란 암술 끝에 모양을 갖춘 귤이 보인다.

히비스커스(하와이무궁화)

히비스커스는 일반적으로 아욱과 무궁화속 식물을 통칭하며 수백개의 종이 있다. 이곳에 올린 사진은 주로 아열대나 열대 지방에서 자라는 하와이무궁화(H. rosa-sinesis)이다. 우리나라의 국화인 무궁화와 하와이무궁화가 얼핏 보아 가장 다른 점은 꽃색과 수술의 길이이다. 무궁화가 분홍과 흰색 위주라면 하와이무궁화는 진홍색과 흰색이었고, 하와이무궁화는 수술의 길이가 엄청나게 길다. 히비스커스는 인도 동부, 중국 남부지방이 원산으로 알려져 있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는 상록관목이다. 잎은 어긋나고 뾰족한 계란형이며 가장자리가 톱니모양이다. 여름에 새로난 가지에서 피는 꽃은 하루만에 피었다 진다. 꽃은 주먹 크기 정도로 큰 편이며 꽃잎이 5개이고 긴 꽃대 끝에 암술이, 아래쪽으로 노란 꽃밥을 단 수술들이 달린..